경제 톡톡 4

양적완화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혜성경제톡톡입니다~! 😊 오늘은 경제 뉴스에 자주 나오는 용어인 양적완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양적완화란?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QE)는 중앙은행이 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대규모 금융자산을 구매하는 통화정책입니다. 대규모 금융자산을 구매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 정책의 주요 특징과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금융 시장의 유동성 증가 중앙은행이 국채나 기업채 같은 금융자산을 대량으로 사들임으로써 시장에 현금을 공급합니다. 이는 금융기관들이 더 많은 대출을 할 수 있게 만들어 경제 활동을 촉진합니다. 2. 저금리 유지 양적완화는 시장에 현금을 풀어 금리를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저금리는 기업과 개인의 대출 부담을 줄여 소비와 투자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경제 톡톡 2023.11.12

CMA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혜성경제톡톡입니다~! 😊 오늘은 주식 계좌를 만들 때 자주 등장하는 용어인 CMA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MA란? CMA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주식 열풍 때문에 예전보다는 많은 분들이 아실 것 같은데요.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CMA는 Cash Management Account, 즉 돈 관리 계좌를 말합니다. 계좌에 돈을 입금하면, 자동으로 국공채, 어음 등 단기 금융 상품에 알아서 매일 투자가 되는 계좌입니다. 즉 "알아서 매수 매도가 이뤄지고, 해당 이득을 고객에게 나눠주는 계좌"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CMA는 은행 보통예금 통장보다 금리가 약 10배 이상 높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매일 이자를 지급합니다. 하지만, CMA 계좌는 초저위험과 저위..

경제 톡톡 2023.10.29

가격과 가치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혜성경제톡톡입니다~! 👏👏👏 오늘은 가격과 가치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여러분들은 가격과 가치의 차이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새우깡 1980년도에는 새우깡 가격이 100원이었는데 지금 새우깡은 약 1,300원입니다. 이를 통해 새우깡의 가격은 13배 올랐다는 것을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가치도 13배가 오른 것일까요? 1980년도에 만든 새우깡은 합성새우로 만들고, 지금 새우깡은 생새우로 만든다면 가치가 달라졌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일하게 생새우로 만들기 때문에 가치는 가격과 달리 크게 변하지 않았습니다. 생수 이번에는 생수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생수의 판매가격은 1,000원일 때 1등급 약수터 앞에서 판매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당연히..

경제 톡톡 2023.07.23

화폐와 돈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혜성 경제톡톡입니다~! 👏👏👏 오늘은 화폐와 돈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여러분들은 화폐와 돈의 차이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신사임당과 세종대왕은 돈이 아니다 신사임당과 세종대왕을 우리는 지폐, 즉 종이돈이라 하고 통상적으로는 돈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신사임당과 세종대왕이 진짜 돈일까요? (사람이라고 말하시는 건 아니겠죠..?)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신사임당과 세종대왕은 돈(Money)이 아니라 화폐(Currency)입니다. 그게 무슨 말이냐고 반문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그랬습니다. 그렇다면 돈과 화폐는 어떤 점이 다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화폐 화폐란 상품과 교환할 수 있는 매개체입니다. 그러므로 계산이 가능한 단위의 숫자가 표시..

경제 톡톡 2023.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