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톡톡

LTV, DTI, DSR 알아보기

경제톡톡 2023. 7. 30. 23:26

안녕하세요! 혜성경제톡톡입니다~! 😊

오늘은 부동산 공부를 하면서 가장 자주 봤던 용어 중 하나인 LTV, DTI, DSR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LTV

LTV(Loan To Value Ratio)는 주택담보가치 대비 대출이 가능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주택담보가치는 KB부동산시세, 감정가액, 국세청 기준시가 등 공신력 있는 평가 자료를 사용하여 결정합니다. 일반적으로 미래 소득을 기준으로 하는 신용대출에 비해, 실물 담보가 있는 대출이기 때문에 이율이 낮고 조건이 더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대출을 갚지 못한 경우 담보로 잡은 집을 경매 등으로 처분해 대출금을 회수하며 이때는 평균 시세보다 낮은 값에 낙찰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조건이 좋다고 무조건 많은 대출을 하는 것은 좋지 못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LTV는 투기, 투기과열, 조정대상 지역에 따라 비율이 다를 수 있습니다.

 

DTI

DTI(Debt To Income Ratio)는 총부채상환비율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Debt는 대출 금액, Income은 연 소득을 말합니다. 따라서 DTI란 연 소득에서 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과 기타 부채의 연 이자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DTI가 높을수록 부채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대출을 제공하는 금융기관에서는 대출자의 DTI를 평가하여 대출 가능 여부나 대출 금액을 결정합니다. 대부분의 금융기관은 안정적인 대출 상환을 위해 DTI를 40% 아래로 유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DTI 규제의 목적은 소득에 비해 과도한 부채를 갖는 것을 방지하고, 빚을 갚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의 수를 줄이는 것입니다.

 

DSR

DSR(Debt Service Ratio)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DSR은 총부채상환액(원리금 상환액 및 이자 비용)을 연간 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값이 클수록 부채 상환능력이 약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DTI와 비슷한 것 같지만 DTI보다 더 많은 대출(ex, 학자금 대출, 신용대출)의 원리금을 포함해 계산하기 때문에 더 강력한 제도라도 생각하면 됩니다. 보통 LTV와 DTI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DSR은 참고로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정리

오늘은 부동산 대출과 관련이 있는 LTV, DTI, DSR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LTV, DTI, DSR 중 주택 가격과 관련 있는 용어는 무엇일까요? 정답은 LTV입니다. DTI, DSR은 소득, 상환액과 관련이 있었고 LTV는 담보물인 주택 가격과 관련이 있는 대출 규제 용어였습니다. 여기서 더 나아가서 LTV, DTI, DSR의 비율을 언제 올리고, 내리는지 알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부동산 톡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당권 vs 근저당권  (0) 2023.08.06
입주물량이란?  (0) 2023.07.31
분양주택: 민간분양과 공공분양의 차이점  (0) 2023.07.09